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GPU 란? 엔비디아 VS 인텔 AI 시대가 시작되면서 GPU 대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GPU 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엔비디아와 인텔 제품의 차이를 비교해보겠습니다. GPU란? GPU의 주요 역할은 그래픽 렌더링입니다. GPU는 복잡한 그래픽 연산을 빠르게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화면에 표시합니다. 이는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GPU는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병렬 처리 능력이 뛰어난 GPU는 대규모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딥러닝 모델의 훈련과 추론 속도를 크게 향상시킵니다. 엔비디아는 AI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CUDA라는 병렬 컴퓨팅 플랫폼과 API를 제공합니다. 데이터 분석GPU는 빅데이터 분석에도 사.. 2024. 6. 15.
반도체 8대공정 이해하기 반도체 제조 공정은 매우 정밀하고 복잡한 과정입니다. 각 단계는 최종 반도체 칩의 성능, 품질 및 신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오늘은 반도체 제조 공정의 8단계를 자세히 알아보고, 각 단계가 왜 중요한지, 최종 반도체 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반도체 8대 공정 1. 웨이퍼 생산웨이퍼 준비는 반도체 제조 공정의 첫 단계로, 순도 높은 실리콘을 녹여 원형으로 만든 후 얇게 잘라 웨이퍼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웨이퍼는 반도체 칩의 기본 재료입니다. 웨이퍼의 품질이 높을수록 반도체 칩의 성능과 신뢰성이 높아집니다. 순도 높은 실리콘 웨이퍼는 불순물이 적어 전기적 특성이 우수합니다. 웨이퍼의 품질이 좋으면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이 우수해지고, 불량률이 낮아집니다. 이는 최종 제품의 성능과.. 2024. 6. 15.
OLED LCD 차이점 및 특징 최근 OLED 를 사용한 전자기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애플 아이폰도 그렇고, 닌텐도 스위치도 그렇고, 노트북도 LCD 대신 오엘이디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OLED란 무엇인가요?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입니다. 이 유기 화합물은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발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얇고 유연하게 만들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됩니다.LCD란 무엇인가요?LCD(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액정 물질을 이용해 빛의 통과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화면을 표시합니다.  백라이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두께가 비교적 두꺼우며, 다양한 각도에서 일관.. 2024. 6. 15.
HBM DDR5 메모리 차이 최근 엔비디아의 주가 상승을 보면서 HBM이 도대체 뭐야? 하는 의문이 생기셨을 겁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고요. 컴퓨터와 관련된 걸 잘 모르기 때문에 그냥 성능좋은 메모리겠지~ 막연하게 생각 했지만 흔히 알고 있는 DDR 메모리와 차이점이 뭔지 너무 궁금하더라고요. 해당 내용을 공부하면서 그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DDR 메모리와의 비교 1. 기본 개념DDR 메모리: DDR, DDR2, DDR3, DDR4, DDR5 등의 형태로 발전해 온 전통적인 메모리 기술입니다. 각각의 버전은 주로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전력 효율성 면에서 개선된 성능을 제공합니다. HBM: DDR 메모리와 달리, 메모리 칩을 수직으로 쌓아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각 칩 사이의 연결을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3D 패키징 기.. 2024. 6. 12.